“네스프레소 캡슐커피가 밍밍하고 쓰기만 하다고요?”
→ 그것, 추출 방식이 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저는 커피에 진심인데요.이리저리 맛있게 내리는 방법을 연구해 본 결과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제가 느낀바를 공유하고 맛있게 먹기 위해서 이리저리 공부하며 서치한 내용도 종합해서 알려드릴게요.
네스프레소 오리지널 캡슐을 대상으로, 물양(20g 전후)과 추출 시간(15초 전후)의 변화에 따른 맛의 차이를 비교해드리겠습니다.
추가로 에스프레소 추출의 원리와 실제 계량 팁, 그리고 캡슐 종류별 최적 추출 조건까지 정리했습니다.
네스프레소 캡슐 추출의 원리: 왜 '짧게, 정확하게'가 핵심일까?
일단 에스프레소 추출방식 자체가 짧은 시간, 높은 압력 입니다.
네스프레소 역시 이 원리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지만, 캡슐의 원두 양이 5g 내외로
일반 에스프레소 머신보다 추출량과 시간 모두 짧게 설정해야 진한 향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5g 원두 기준으로 권장 추출량은 약 15~20g (ml) 수준
이를 초과할 경우 쓴맛과 불쾌한 떫은 향이 증가합니다
또한 네스프레소 캡슐 종류에 따라 분쇄도·배전도·바디감이 달라, 추출 시간은 캡슐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실제 실험에서는 20g 추출 시 소요 시간은 10~16초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추출량? 그냥 소주잔 하나 준비하세요
정확한 계량이 어렵다면, 소주잔이나 소형 계량컵을 기준으로 물양을 조절해보세요.
- 소주잔 기준 약 50ml
- 아르페지오 등 진한 캡슐은 1/3 잔 (약 20ml)
- 로마·리반토 등은 1/2 잔 (약 30ml) 정도가 적당
- 큰 잔에 마실 경우엔 캡슐 2개 사용이 필요합니다
큰 잔 + 캡슐 1개 = 밍밍한 물맛
작은 잔 + 캡슐 1개 = 에스프레소 본연의 농축된 맛
결과 요약-캡슐 3종, 추출양/시간/온도별 비교
추출양 | 추출시간 | 향 | 쓴맛 | 산미 | 바디감 | 총평 | |
아르페지오 | 20g | 13초 | 진함 | 강함 | 낮음 | 무거움 | 진한 에스프레소용 |
로마 | 30g | 15초 | 부드러움 | 적당 | 약간 | 중간 | 균형 좋음, 룽고 추천 |
리반토 | 20g | 12초 | 상큼 | 약함 | 강함 | 산뜻 | 짧게 뽑아야 산미 생생 |
추출 시간은 15초 전후가 기준
그 이상 길어지면, 쓴맛과 떫은맛 증가 + 향미 손실
캡슐 보관도 맛에 영향을 준다?
- 공기와 접촉하거나 습한 환경에 노출된 캡슐은 향이 빨리 날아갑니다
- 직사광선, 고온장소 피하고 밀폐 보관이 중요
- 정품 보관함 or 밀폐 유리병 활용 권장
또한, 추출에 사용하는 물도 맛에 큰 영향을 줍니다.
실제 실험에서는 생수, 정수기, 수돗물 종류에 따라 향과 쓴맛, 바디감의 차이가 뚜렷하게 느껴졌습니다.
👉 바디감 & 부드러운 맛 = 연수 계열 (무기질 적은 생수)
👉 쓴맛 뚜렷 = 경수 계열 (무기질 많은 물)
라떼 만들기 팁 – 에어로치노 없어도 괜찮아요
- 전자레인지 + 텀블러 셰이크
- 우유 100ml 전자레인지에 40초 데운 후
- 텀블러에 넣고 흔들면 라떼용 거품 완성
- 수동 거품기 or 거품망 활용
- 따뜻한 우유를 강하게 휘저어 크리미하게 만들기
- 아이스라떼용은 더 간단
- 진하게 추출한 캡슐 1개 + 찬 우유 + 얼음
정리: 네스프레소 맛없게 마시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길게 뽑는 것'
추출량 40ml 이상 | 향 날아가고 밍밍해짐 |
추출 시간 20초 이상 | 쓴맛, 떫은맛 증가 |
너무 큰 잔 사용 | 라떼 아닌 '커피맛 물' |
✔ 네스프레소 캡슐은 짧고 정확하게 추출할수록 진가가 살아납니다.
✔ 캡슐 하나당 15-20g(ml) / 10-15초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범위입니다.
✔ 추출 방식 하나만 바꿔도 **‘내 입맛에 맞는 커피’**로 재발견할 수 있습니다.
'진정성 있는 엄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축 vs 구축 아파트, 점검 포인트 달라야 한다! (0) | 2025.05.29 |
---|---|
불안한 경제 속 "강남키즈" 왜 엄마들은 강남을 선택할까? (0) | 2025.05.23 |
유통기한 지난 네스프레소 캡슐, 마셔도 될까? 직접 마셔본 리얼 후기 (0) | 2025.05.09 |
이사 당일 꼭 챙겨야 할 준비물 & 체크리스트 10가지 (0) | 2025.05.09 |
이사 전, 이사업체에 꼭 확인해야 할 11가지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