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을 둘러싼 단편적 비난에 반대하며
요즘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단어들이 있습니다.
바로 ‘7세고시’, ‘영어유치원’, 그리고 *‘라이딩 엄마’*라는 말이죠.
이 단어들 앞에는 흔히 ‘과도하다’, ‘불행하다’, *‘엄마의 욕심’*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붙곤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와 같은 획일적인 여론 형성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이면에는 각 가정의 사정과 아이의 특성, 그리고 부모의 고민이 담겨있습니다. 단순한 외부의 시선으로 잘잘못을 쉽게 판단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 아이의 수준을 고려한 교육 선택은 ‘과잉’이 아니다
많은 비판은 "왜 아이에게 그렇게까지 교육을 시키느냐"는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그런데 저는 이렇게 반문하고 싶습니다.
모든 아이가 똑같은 속도, 똑같은 방식으로 성장하는 걸까요?
어떤 아이는 유난히 언어 감각이 뛰어나고, 또 어떤 아이는 집중력과 추론력이 또래보다 빠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에게 더 많은 교육적 인풋을 제공하는 것, 그 자체가 잘못일까요? 오히려 그런 아이들을 위한 맞춤형 환경과 기관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중요한 건, 그 선택이 아이가 힘들어하는데도 억지로 시키는 교육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아이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행복한 배움의 흐름 안에서 교육이 이뤄지는 것 — 이것이 핵심입니다.
결국 부모는 여론이 아닌, 자신의 아이를 제대로 이해한 기준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2. ‘강남 엄마’에 대한 싸잡은 비난은 현실과 다르다
언론이나 커뮤니티에서는 ‘강남 사교육’이 아이들의 정신 건강을 해친다고 단정짓습니다.
하지만 저는 강남 지역에서 직접 아이를 키우며, 그것이 현실을 왜곡한 일부 시선임을 분명히 느꼈습니다.
실제로 영어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이 유학 온 듯 자연스러운 영어 환경을 경험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은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따라가니까 시키는 거지, 못 따라가는데 억지로 시키는 부모는 많지 않다” — 이것은 많은 엄마들의 공통된 말입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자기 아이의 객관적인 역량을 파악하려는 부모들의 노력이 있습니다.
‘대치맘’, ‘강남맘’이라는 말로 싸잡아 비난하기 전에, 그 안의 다양한 부모와 아이들을 하나의 틀로 재단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모든 교육 환경이 아이를 불행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어떤 환경이든, 부모의 자세와 아이의 반응이 먼저 고려돼야 할 부분입니다.
3. ‘라이딩 엄마’는 극성이 아니라 '선택적 헌신'이다
요즘 자주 등장하는 풍자 중 하나는 ‘라이딩 엄마’에 대한 비꼼입니다.
아이를 픽업하고, 학원까지 데려다주고, 차에서 도시락 먹으며 기다리는 그 모습을 비생산적인 행위로 묘사하곤 하죠.
하지만 저는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그들은 아이의 안전을 위해 직접 움직이고, 시간을 쏟는 헌신적인 부모입니다.이 헌신 마저도 그들의 선택이죠.
그건 여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 시기 아이에게 꼭 필요한 역할이기 때문에 선택한 일입니다.
그 누구보다 아이의 동선, 피로도, 심리 상태까지 세심하게 파악하고 조율하는 그 능력은,
결코 *‘할 일 없는 엄마’*라는 한마디로 치부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하루 종일 직장에 있으면서 아이의 등원 알림만으로 하루를 불안하게 보내는 부모 입장에서는,
그런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능력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과잉 교육에 대한 우려는 분명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우려가 모든 부모의 선택과 교육 방식에 대해 일방적인 비난의 형태로 흘러가는 것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아이마다 속도가 다르고, 가족마다 사정이 다릅니다.
교육은 정답이 있는 길이 아니라, 각 가정의 사정과 아이의 상태에 따라 만들어가는 여정입니다.
그리고 그 여정 속에서 부모는, 때로는 조심스럽고 때로는 용기 있게 선택을 해야 합니다.
정답은 없지만, 분명 오답은 아닐 수 있는 그 길을 누군가는 이해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my w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트페어링"이 인기 있는 진짜 이유 (0) | 2025.05.23 |
---|---|
나의 작은 결정들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0) | 2025.04.25 |
완벽한 사랑 (0) | 2025.04.22 |
무언가를 해야만 해 (0) | 2025.04.16 |
대기업 10년차 퇴사자의 글 (1) | 2025.04.15 |